Google Developer Group

Yonsei University

25-26 세 번째 T19

PreviewPreviewPreviewPreviewPreviewPreview

일정

2025. 9. 23. 19:00

-

25. 09. 23. 21:00

장소

연세대학교 제1공학관 A685

세션 내용

T19 세션은 GDGoC Yonsei의 전체세션입니다.

  • apt updata 세션에서는 최신 기술과 테크 트랜드에 대해서 발제를 진행합니다.
  • Tech Session에서는 발제자가 관심 있는 분야의 기술에 대한 발제를 진행합니다. 이번 Tech Session은 Alumni들의 발제가 있었습니다.

✔️ APT Update

Cloud Member - 이석원

MCP는 LLM과 외부 프로그램을 표준 인터페이스로 연결해 툴 실행 결과를 컨텍스트로 되돌려주는 프로토콜입니다. Context7으로 React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Figma로 화면 흐름을 설계하고, Playwright로 브라우저 자동화를, Task Master로 일정·계획 생성을 연동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MCP의 보안 문제점도 지적했습니다.

✔️ Tech Session

1기 Front-End 파트장 - 강민서

Front-End가 챙겨야 할 UX는 속도,상호작용,안정감,접근성입니다. SSR & Hydration, code splitting, image optimization, caching, preload 기법을 이용하여 첫 화면 페이지를 빠르게 보여주고, prefetch, CSR을 이용하여 페이지 이동을 즉각적으로 보장합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throttle & debounce, React concurrent model (Fiber), Optimistic UI를 통해 즉시 반영되고, font-swap, Image aspect-ratio, placeholder, transition을 사용하여 화면 요소가 예상 가능한 위치에 있게 만들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L10N, Tab index, image alt 등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접근성을 확보합니다.

1기 Lead - 정기웅

PyTorch는 연산을 즉시 수행하는 eager 모드와 모델을 그래프로 만들어서 최적화로 실행하는 graph 모드를 제공합니다. 현대 DNN 워크로드는 수동 디스패치와 컴파일러 생성 방식이 공존하며, TVM 같은 스택은 커널 퓨전과 스케줄 최적화로 ResNet 등 모델을 가속합니다. CUDA 대신 Triton, CuTe 같은 DSL을 쓰면 파이썬 문법으로 고성능 GPU 커널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어 성능과 생산성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2기 Back-End 파트장 - 유회성

서버 구성은 상이한 workload를 고려해 웹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분리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트래픽 증가는 보통 scale out으로 대응하며, 로드밸런서는 routing, health check, SSL Termination, Web Server 등 로드를 밸런싱하는게 핵심 역할입니다. 신뢰성의 핵심은 SPOF 제거로, LB를 active-active/standby로 구성합니다. 단일 database는 lock을 통해 해결할수있고, read replica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Contact Us

Google Developer Group

Yonsei University